본문 바로가기

계시판

현금지급기가 쏟아낸 너덜너덜한 지페 황당

현금지급기가 쏟아낸 너덜너덜한 지페 황당

 

현금지급기(ATM)에서 현찰을 인출했는데 너덜너덜한 지폐만 쏟아진다면 얼마나 황당할까.

 

 

은행에서 회수했다면 다시 유통시키기 어려운 지폐들이 ATM에서 나와서 논란이 됐다. (사진=디아리오투쿠만)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일 같은 사건이 실제로 벌어졌다.

 

아르헨티나 현지 언론은 1장의 사진을 보도했다. 사진에는 지폐 10장과 ATM에서 출력한 명세서가 놓여 있다.

 

그런데 지폐들이 심상치(?) 않다. 10장의 지폐 중 성한 건 겨우 3장뿐이다. 6장은 부분적으로 훼손돼 있고, 1장은 가운데가 찢어져 있다.

 

온전한 3장도 지저분하긴 마찬가지다. 무슨 까닭인지 은행이 마구 도장을 찍어 지저분하기 짝이 없다.

 

아르헨티나 지방 투쿠만에 사는 한 시민은 최근 ATM에서 1000페소를 인출했다. 100페소권 10장이 나왔는데 지폐의 상태가 이랬다. 화가 난 독자는 사진을 찍어 언론에 제보하면서 "ATM에서 이런 지폐가 나왔다. 꼭 독자들에게 알려 다른 피해자가 없도록 해달라"고 부탁했다.

 

현지 언론은 제보가 이용한 은행의 이름과 지점의 위치까지 공개하면서 사진을 지면에 실었다.

 

어이 없는 일을 당한 제보자는 기사가 난 다음 날 은행을 찾아갔다. 은행에선 지점장이 나와 사과하면서 지폐를 모두 교환해줬다.

 

제보자는 "지점장이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면서 "그러나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는 해명하지 않아 씁쓸한 구석이 있다"고 말했다.

 

아르헨티나는 인플레이션 때문에 지폐의 고생(?)이 심한 국가다.

 

지난해 아르헨티나의 물가상승률은 40%대였다. 2007년부터 10년간 물가가 1200% 이상 올랐지만 지난해까지만 해도 최고액권은 100페소권으로 묶여 있었다.

 

한때 미화 100달러(11만원)와 가치가 동일했던 100페소의 가치는 현재 약 13달러(14000)로 추락했다.

 

고물가로 너도나도 100페소권만 사용하게 되면서 걸레처럼 낡은 지폐가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