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방탄복보다 가볍고 강철보다 강한 첨단 ‘거미줄 방탄군복’ 곧 등장

방탄복보다 가볍고 강철보다 강한 첨단 ‘거미줄 방탄군복’ 곧 등장

 

미래 전장에서 군인들의 몸을 보호해줄 방탄 군복의 재질은 기존의 특수 가공된 나염원단이 아니라 ‘거미줄’?

 

 

미국과학전문매체 라이브 사이언스닷컴은 미시건 기반 크레이그 바이오크래프트 연구소(Kraig Biocraft Laboratories)가 개발한 ‘첨단 거미줄 소재’를 25일(현지시각) 소개했다.

 

거미줄은 가볍고 유연하며 강철보다 강한 천연 섬유 중 하나로, 자연 생태계에 첫 등장한 후 현재까지 약 1억 4천만년에 달하는 오랜 역사를 버텨온 거미줄은 혹독한 자연 생태계에서 거미들의 안전한 피난처와 사냥도구로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 ‘의류재질로 응용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거미줄이 응용될 수 있는 분야는 군복으로 꼽히는데, 수많은 위험으로부터 군인의 몸을 보호해야하는 군복을 거미줄 소재로 제작할 경우 굳이 무거운 방탄조끼를 걸치지 않아도 충분히 보호 작용을 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품이 될 수 있지만 문제는 대량 생산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거미줄을 구하기 어렵다는 것이며, 수십만 마리의 거미를 사육해 일일이 거미줄을 채집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여기서 크레이그 바이오크래프트 연구소는 다른 방법을 발견했다.

 

미국 애리조나 대학 등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진행되어온 ‘거미줄 단백질 분자 구조 연구’를 의류소재제작으로 응용시키는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 유전자 변형 누에가 생산한 거미줄 실크로 제작된 군용장갑(확대 모습)

 

연구소가 주목한 것은 노트르담 대학에서 진행된 연구로 그들은 유전자 변형 누에에 거미줄 생산 단백질을 주입시키는 방식으로 거미줄 소재의 지속적 생산이 가능하도록 했다.

 

크레이그 바이오크래프트 연구소는 해당 연구에서 가능성을 발견, 노트르담 대학 연구진을 연구소 개발부서로 초빙해 군복 소재 제작을 계속 진행해왔다고 한다.

 

연구소에 따르면, 이 거미줄 실크의 제작비용은 ㎏당 150달러(약 15만 2,000원)로 경쟁 소재인 E.coli 섬유의 130,000 달러(약 1억 3,000만원)과 비교도 안 되게 저렴하다.

 

우선적으로 2015년까지 총 규모 50억 달러(약 5조 895억 원)에 달하는 일반 의류섬유 시장 안착이 목표며 2차적으로는 유연하고 강한 군용 속옷, 장갑 생산이 계획되어 있다고 한다.

크레이그 바이오크래프트 연구소 최고경영자 킴 톰슨은 “거미줄 소재는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하고 강한 소재로, 특히 군인들에게 방탄복보다 가벼우면서 성능은 뛰어난 새로운 유형의 군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사진=포토리아/Kraig Biocraft Labora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