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시판

<취리히대> 극 고온에도 ‘멀쩡한’ DNA, 우주에서 지구로 유입 가능제기

<취리히대> 극 고온에도 ‘멀쩡한’ DNA, 우주에서 지구로 유입 가능제기

 

로켓의 외부에 부착된 DNA 분자가 지구 대기권을 재진입할 때 발생하는 극고온의 환경 등의 우주여행을 견뎌낼 수 있다는 연구논문이 미국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26일 자에 게재됐다.

 

▲ 2011년 3월 발사된 ‘텍서스-49’ 로켓./ 취리히대

 

유전자의 본체인 DNA. 생명체의 근간을 이루는 이 물질이 어쩌면 우주에서 처음 유입됐을 가능성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스위스 취리히대(UZH)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2011년 3월 발사된 ‘텍서스-49’(TEXUS-49) 로켓 임무 당시 시행된 실험에서 로켓 외부에 도포한 모든 부위에서 DNA를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올리버 울리히 교수(오른쪽)와 코라 틸 박사./취리히대

 

연구를 이끈 올리버 울리히 교수와 코라 틸 박사는 우주 비행을 견딘 DNA 분자는 1000번의 고온 노출에도 유전정보를 유지했다고 밝혔는데, 이 실험은 지금까지의 외계생명체 탐사로부터 바이오마커(생체 지표)가 될 수 있는 모델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DNA는 외계생명체의 흔적을 찾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우리는 지구와 우주의 조건이 DNA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규명하는 연구에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실험에서 연구팀은 형광마커를 첨가한 인공 플라스미드 DNA를 로켓 기체의 3개소에 부착했으며, 실험의 목적은 우주 비행에서 지구로 귀환하는 동안 바이오마커가 안정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 실험결과가 “전혀 예상 밖이었다”고 말했는데, DNA 분자가 우주 여행을 견딜 수 없을 거라고 이들은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무사한 DNA가 그렇게 많으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결과는 지구에서 유래한 DNA 등이 우주로 유출돼 착륙지 등이 오염될 가능성도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한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이는 우주에서 지구로 인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지구에서 우주와 다른 행성에 초래하는 문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사진=취리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