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맨 인 블랙’ 기억제거장치 쥐 실험 성공 현실화 멀지않은 듯
과거 큰 인기를 끈 할리우드 영화 '맨 인 블랙'을 통해 트레이드 마크가 된 기기가 있는데, 바로 펜처럼 생긴 빛이 터지면서 사람들의 기억을 지우는 장치로, 영화 속에서나 등장하는 이 기억 제거장치가 현실이 될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데이비스캠퍼스 연구팀이 유전자 조작된 쥐의 특정 기억을 지우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는데, 영화 속에서나 등장하는 상상이 현실이 된 이번 연구는 '광유전학'(optogenetics)이란 이론이 바탕이 됐다.
빛(opto)과 유전학(genetics)을 결합돼 만들어진 이 용어는 빛과 유전공학 기술로 뉴런(뇌 신경세포)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일화적 기억(episodic memory). 이는 '어제 저녁에 누구랑 무엇을 먹었는지'와 같은 기억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건이 일어난 장소, 시간 등을 기억하는 것을 말한다.
신경 전문가들은 이같은 일화적 기억이 우리 뇌 속 깊숙이 숨어있는 대뇌 피질(cerebr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의 공동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이곳 신경세포에 레이저를 쏴 세포가 활성화되면 야광의 녹색 빛을 내는 쥐를 유전자 조작으로 만들어냈으며, 곧 기억이 생기면 빛을 발하고 없어지면 꺼지는 일종의 '스위치'를 만들어 낸 것인데, 결과적으로 연구팀은 여기에 전기 자극을 줘 기억을 조절하는 실험을 한 셈이다.
특히 이는 실제 실험을 통해 검증됐으며, 연구팀은 실험대상이 된 쥐들을 새장에 넣고 전기 쇼크를 주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시킨 이후 이 같은 '기억'을 가진(녹색 빛이 활성화된) 쥐는 새장에 들어가는 순간 온몸이 얼음처럼 굳어버리는 행동을 보였으며, 그러나 녹색 빛이 활성화 되지 않은 쥐의 경우 전기쇼크는 까맣게 잊고 평소와 같은 행동을 보였다.
연구를 이끈 브라이언 윌트겐 박사는 "해마 속의 특정 세포가 기억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라면서 "향후 사고로 기억을 잃은 사람이나 치매 환자들을 위한 좋은 치료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건강,삶의 질 향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카르랠리경기에 참가한 모터레이서, 도둑맞는 바람에 경기 포기 (0) | 2015.01.09 |
---|---|
美에볼라 감염 간호사 이송에 보호 장비 없는 남자 정체는? (0) | 2014.10.17 |
꾸준히 운동하면 우울증이 사라지는 이유 밝혀져 (0) | 2014.09.30 |
17년 만에 여성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무사안착 임무수행 시작 (0) | 2014.09.28 |
우울감에 빠지는 사람은 뇌 속 ‘신경전달물질 불균형’ 탓 (美 연구) (0) | 201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