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시판

30년 만에 발견된 ‘살아있는 화석’ 희귀 앵무조개

30년 만에 발견된 ‘살아있는 화석’ 희귀 앵무조개

 

'극히 희귀해 살아있는 화석'으로도 불리는 앵무조개가 30년 만에 바다 속에서 발견됐다.

 

 

 

최근 미국 워싱턴 대학 연구팀이 지난 7월 파푸아뉴기니 인근 바다 속에서 '앵무조개'를 발견해 촬영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영어로는 '노틸러스'(Nautilus)로 불려 우리에게는 잠수함 이름으로 더 익숙한 앵무조개는 흥미롭게도 조개류가 아닌데, 오징어와 낙지 같은 두족류인 앵무조개는 새우와 게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으로, 고생대 암모나이트와 유사한 몸통에 수많은 촉수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나선형 구조의 껍질층이 앵무새의 부리를 닮았다고 해서 이같은 이름이 붙었으며 눈에는 수정체가 없고 90개나 되는 촉수는 특이하게 빨판이 없다.

 

무려 5억년이나 명맥을 유지해 '살아있는 화석'으로 통하는 앵무조개는 현재 총 6종이 남아있으며, 지금은 수족관에 가야 구경할 수 있는 귀하신 몸이 됐다.

 

그 이유는 앵무조개의 몸통이 장신구로 인기를 끌면서 어민들의 표적이 됐기 때문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인간보다 훨씬 먼저 지구에 살며 수억년 동안 '가문'을 유지해 온 앵무조개가 인간 때문에 멸종 위기에 몰린 셈이다.

 

이번에 워싱턴대 연구팀이 발견한 앵무조개는 그 중 가장 희귀한 종인 '알로노틸러스'(Allonautilus scrobiculatus)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에게 발견된 것은 지난 1986년이지만 영상 등 증거 기록을 남겨놓지 못해 실제로 증명된 것은 지난 1984년이다.

 

연구를 이끈 피터 워드 박사는 "수백 피트 아래에 미끼를 놓고 카메라로 관찰하던 중 앵무조개 2종을 발견했다" 면서 "이 중에 발견된 알로노틸러스는 껍질에 낯선 털이 있으며, 이를 통해 포식자가 이빨로 자신을 무는 것을 방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앵무조개는 지구 대멸종 시기에도 살아남은 종이지만 무분별한 포획은 그들 역사에 종지부를 찍게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