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겁과 천연두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질병관리본부 발생지역 여행 자재 당부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 공포" 질병관리본부 발생지역 여행 자재 당부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의 공포가 세계를 뒤덮고 있는데,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발생지역 여행을 스스로 자제"해줄 것을 당부했다.

 

30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23일 현재 서아프리카의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3국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 환자는 모두 1천201명(의심환자 포함)이며 이중 672명이 사망했다.

 

미국국립질병통제센터(CDC)가 제공한 에볼라 바이러스의 모습.

 

에볼라 치료를 담당하던 의사들의 사망도 잇따르면서 주변국뿐만 아니라 다른 대륙에서도 항공기 등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를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면서도 "해당 지역 여행객들은 스스로 여행을 자제하고 현지에서 감염자나 동물과의 접촉을 피할 것"을 당부했다.

 

1976년 콩고공화국에서 처음 발생한 에볼라 출혈열은 필로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으로, 처음 발견된 콩고의 강 이름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매우 치명적이고 공격적인 병원체로, 치사율이 25%에서 최고 90%에 이르며, 발견 지역에 따라 모두 5종의 바이러스가 있는데, 이 가운데 자이레 종의 치사율이 가장 높다.

 

감염된 사람의 체액, 분비물, 혈액 등을 직접 접촉하거나 감염된 침팬지, 고릴라 등 동물과 접촉했을 때 감염되며, 2∼21일의 잠복기를 거쳐 갑자기 열, 오한, 두통, 식욕부진, 근육통, 목아픔 등의 증상을 보인다.

 

처음 증상이 나타난 후 진행 속도는 개인차가 있으나 통상 발병 10일을 전후해 출혈로 인한 저혈압 쇼크나 장기부전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으며,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데다 잠복기간에는 사람간의 전파도 나타나지 않아 호흡기를 통한 감염병 보다는 전파 속도가 느린 편이다.

 

라이베리아, 에볼라 차단 위해 국경 폐쇄

 

라이베리아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를 퇴치하기 위해 활동하다 감염된 미국인 의사 켄트 브랜틀리의 친구 데이비드 매크레이 박사(왼쪽)가 28일(현지시간) 미 텍사스주 포트워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브랜틀리의 근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라이베리아 정부는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와 사망자가 계속 발생하자 이의 확산을 막기 위해 27일 국경을 봉쇄하고 공공집회도 제한키로 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가장 큰 문제는 아직 예방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다는 것인데, 세계 각국에서 오래 전부터 백신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인간뿐 아니라 영장류 동물에서조차 효과적인 예방 백신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백신연구센터 연구팀과 영국 케임브리지대 열대의학연구소 연구팀이 백신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최첨단 기술인 DNA 백신 형태의 개발이 꾸준하게 추진되고 있는데, 쥐와 침팬지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고무적인 결과를 얻어내기도 했다.

 

최연화 질병관리본부 생물테러대응과 연구관은 "미국과 영국 연구진이 개발하고 있는 DNA 백신제형은 안전성과 효능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기대되는 에볼라백신 후보물질"이라며 "이 후보물질이 성공적으로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해 에볼라 바이러스도 두창바이러스처럼 근절되는 날이 오길 기대 한다"고 밝혔다.

 

에볼라 바이러스와 관련해 WHO는 아직 발생국가 여행 제한을 권고하고 있지 않은 상태지만, 우리 보건당국은 그러나 "발생지역으로의 여행을 스스로 자제해 달라"고 당부한다.

아울러 현지에서 거주하거나 불가피하게 현지를 방문하는 사람은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손 씻기 등의 개인위생을 철저히 할 것을 조언했으며, 발생지역에서 의료 봉사 등을 통해 환자를 치료할 때도 장갑, 마스크 등 개인 보호장비를 철저히 착용해야 한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현재 시에라리온에 73명, 기니 50명, 라이베리아에 47명의 재외동포가 거주 중이다.

 

WHO 등이 대륙 간 전파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기는 하지만 항공기 등을 통한 국내 유입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상태다.

 

윤승기 질병관리본부 검역지원과장은 "해당 국가에서 입국하는 사람과 항공기 내에서 주변에 앉았던 사람들까지 포함해 잠복기가 끝날 때까지 증상 여부를 모니터하고 있다"고 말했다.

 

AP=연합뉴스 사진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