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시판 썸네일형 리스트형 뉴질랜드서 '입으로 숨 쉬는' 돌고래 발견 뉴질랜드서 '입으로 숨 쉬는' 돌고래 발견 뉴질랜드에서만 사는 멸종위기종인 ‘헥터돌고래’ 모니터링 중 ‘입으로 숨 쉬는 돌고래’가 발견됐다. 돌고래는 원래 수면 위로 뛰는 찰나에 머리 뒤에 있는 숨구멍인 ‘분수공’(분기공)으로 숨을 쉰다.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입을 벌리고 있지만, 등 위의 분수공은 닫혀 있다. 입으로 숨을 쉬는 것이라고 스티븐 도슨 박사는 밝혔다. 스티븐 도슨 제공 뉴질랜드 오타고대학의 스티븐 도슨 박사 등 연구팀은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인근의 고들리 곶에서 뉴질랜드에서만 사는 멸종위기종인 ‘헥터돌고래’ 모니터링 중에 이상한 장면을 발견했다. 수면 위로 뛰는 돌고래의 분수공은 닫혀있는데, 입은 벌리고 있는 장면이었다. 2015년 12월30일 49분 동안 38차례 수면 위로 뛰는 행동.. 더보기 초음파 스텔스 기술 지닌 대형 멧누엣나방 초음파 스텔스 기술 지닌 대형 멧누엣나방 박쥐와 나방은 오랜 세월 초음파를 두고 경쟁해왔다. 야행성인 나방은 새 같은 다른 포식자로부터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밤에도 초음파를 이용해서 먹이를 잡는 박쥐는 무서운 천적이다. 사자 같은 육식 동물과 얼룩말 같은 초식 동물이 각자 잡아먹거나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점점 빠르게 진화하는 것을 '진화적 군비 경쟁'이라고 부르는데, 재미있게도 나방과 박쥐 역시 초음파를 둘러쌓고 진화적 군비 경쟁을 벌여왔지만 박쥐의 초음파 신호를 산란시켜 탐지를 어렵게 하는 스텔스 나방이 있다. ▲ ‘스텔스 나방’ 북미에서 가장 큰 나방 중 하나인 대형 멧누엣나방 (Luna moths). 아래가 머리이고 위가 꼬리 부분. (사진=Andy Reago & Chrissy McClarren.. 더보기 궁지에 몰린 물개가 상어를 공격하는 장면 포착 궁지에 몰린 물개가 상어를 공격하는 장면 포착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의 씰아일랜드(Seal Island)는 명칭 그대로 물개들이 많이 사는 섬이다. 물론 물개 입장에서는 치열한 생존의 투쟁을 벌여야 하는 삶과 죽음의 현장이지만, 바다의 포식자 상어 입장에서는 '뷔페식당'과도 비슷한 곳이다. ▲ 상어 공격하는 물개 22일(현지시간) 영국 매체 더선은 씰아일랜드 앞바다에서 백상아리에게 공격 당하던 물개가 백상아리의 코를 공격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을 보도했다. 사진작가 브랜든 킬브라이드(33)는 최근 남아공 투어 도중 이같은 장면을 포착할 수 있었다. 그는 "씰 아일랜드를 떠나 헤엄치는 물개 무리를 따라가던 도중 한 마리 어린 물개가 우리를 지나쳐 섬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을 봤다"면서 "조그만 물개를 지켜.. 더보기 작지만 세계서 가장 오래된 피라미드 발견돼 작지만 세계서 가장 오래된 피라미드 발견돼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이집트 피라미드 구조물보다 훨씬 작지만 이집트 피라미드 보다 먼저 만들어진 피라미드 구조물이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됐다. ▲카자흐스탄 피라미드 유적(왼쪽)과 이집트 죠세르 피라미드 22일(현지시각)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고고학자들은 카자흐스탄 카라간다시 인근 사리아카 지역에서 B.C 3000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피라미드 구조물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발굴팀은 지난해 이 구조물을 발견했으나 유적 보호를 위해 공개를 늦춰왔다고 밝혔다. 빅토르 노보첸노프 카라간다 주립대 발굴팀 연구원은 “기원전 3000년에 이 지역을 지배했던 왕의 무덤으로 추정된다”며 “이번주 내부 부장품을 조사할 계획이며 부장품은 카라간다 고고학박물관에.. 더보기 병원서 신장결석 여대생 손과 발을 절단한 황당사고 병원서 신장결석 여대생 손과 발을 절단한 황당사고 신장결석 치료를 받던 병원에서 20대 페루 여대생의 두손과 두발을 절단해 불구의 몸이 된 황당한 사고가 발생해 사회가 경악하고 있다. ▲ 신장결석 치료를 받다 손발이 잘려나간 멘데스. 피해여성이 의료사고를 호소하면서 대통령까지 나서 진상조사를 지시하는 등 파문은 확산되고 있다. 경영학을 전공하고 있는 여대생 셜리 멘데스(25)는 지난 1월 15일 신장결석을 치료하기 위해 기예르모알메나라 국립병원에 입원했다. 수술이 필요하다는 말에 멘데스는 3월까지 석 달 가까이 병원생활을 했다. 그동안 3번 결석제거수술을 받았다. 다행히 수술은 비교적 성공적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퇴원한 지 며칠 만에 멘데스는 다시 병원을 찾았다. 소변을 보는 데 문제가 생기면서다. 병원.. 더보기 맥도날드 알바청년 백만장자 된 사연 맥도날드 알바청년 백만장자 된 사연 맥도날드에서 일하던 한 아르바이트생이 백만장자가 된 사연이 공개돼 화제가 되고 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16일(현지시간) 맥도날드에서 시간제 근무를 하던 한 고등학생이 20세의 나이에 백만장자 반열에 올랐고, 각종 부동산과 사업에 투자하는 어엿한 사업가로 변신했다고 소개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영국 사우샘프턴에 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로버트 음푸네(20). 그는 16세 때 한 금융 회사에서 커피나 차를 타서 가져다주는 ‘티 보이’로 일하면서 ‘이원 거래’(binary trading)의 기초를 배웠다. 그는 “티 보이였을 당시 항상 내 주변에는 금융 지식에 해박한 사람들이 많아 그중 몇 가지를 배울 수 있었고 그로부터 혼자 연구하며 독학으로 깨우치게 됐.. 더보기 美 루이지애나 600mm 넘는 기록적 폭우로 주택 4만 채 파손 美 루이지애나 600mm 넘는 기록적 폭우로 주택 4만 채 파손 지난 주말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 주에 600mm가 넘는 기록적 폭우에 홍수 사태까지 겹쳐 최소 11명이 사망하고 가옥 4만여 채가 파손되는 등 침수로 인한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언론에 따르면 지난 12일부터 이틀간 무려 609㎜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인근 강이 범람해 루이지애나 주 남부 일대의 주택과 기업의 사업장이 대부분 침수됐다. 존 벨 에드워즈 루이지애나 주지사는 이날 미국 연방재난이관리청(FEMA)과 공동으로 연 기자회견에서 "역사적인 홍수로 최소 11명이 사망하고 4만 채에 육박하는 가옥이 파손되고 족히 3만 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며 "정확한 사망자 숫자는 며칠이 더 지나야 집계될.. 더보기 붉은늑대, 잡종으로 밝혀져 보호종서 제외될 판 붉은늑대, 잡종으로 밝혀져 보호종서 제외될 판 미국에서 법의 보호를 받던 멸종 위기 야생동물인 붉은늑대가 잡종(雜種)으로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멸종위기종보호법이 순종(純種)만 대상으로 하고 있어 붉은늑대는 보호 대상에서 제외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순종만 법으로 보호하는 것은 인간의 편협한 시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붉은늑대, 회색늑대 미국 UCLA의 로버트 웨인 교수와 프린스턴대 브리짓 본홀트 박사 연구진은 최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미국 남동부에 사는 붉은늑대가 회색늑대와 코요테의 잡종으로 드러났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같은 개과(科) 동물인 회색늑대와 붉은늑대, 코요테의 DNA를 각각 해독해 비교했다. 그 결과 붉은늑대는 유전자의 75%가 코요테와 같고 25.. 더보기 잘나가는 해외 유명 프렌차이즈 업체들 중국서 손 떼는 이유 잘나가는 해외 유명 프렌차이즈 업체들 중국서 손 떼는 이유 올해 중국 내 영업 중인 맥도날드, KFC 등 일부 대형 해외 유명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중국 내 자사 자산을 대규모로 처분, 현금화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 면포재경(面包财经)은 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KFC 측은 올해 3월부터 자사의 모회사인 백승찬잉그룹(百胜餐饮集团)을 통해 중국 내 KFC의 경영권을 매각하고 있으며, 또 다른 미국의 대표적인 패스트푸드 업체 맥도날드 측 역시 중국 내 경영권을 차례로 매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금껏 두 업체는 중국 내 운영되는 패스트푸드 업체 가운데 ‘양대산맥'(两大巨头)으로 불릴 정도로 대규모의 상점을 운영해 왔는데, 실제로 KFC는 지난 1987년 베이징에 첫 상점을 연 이후 올해 2월까지 중국 전역 .. 더보기 우울증 관련 유전변이 17종 발견, 우울증은 유전... 우울증 관련 유전변이 17종 발견, 우울증은 유전... 흔히 우울증으로 불리는 주요 우울증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MDD)와 관련한 유전 변이 17종이 발견됐다. 이는 우울증에 유전적 위험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새로운 증거인 것.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등이 참여한 미 연구진은 이번 발견으로 우울증(MDD) 이면의 생물학적 요인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치료를 위한 길이 열렸다고 국제 학술지 ‘네이처 지네틱스’(Nature Genetics) 최신호(1일자)에 발표했다. 주요 우울증 장애(MDD)는 기분 부전 장애(Dysthmic Disorder), 달리 분류되지 않는 우울 장애(Depressive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와 함께 우울 장애로..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64 다음